티스토리 뷰

질병관리본부가 3년 만에 국내에서 확진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환자와 관련, 동선이 담긴 CCTV 영상 등을 확인한 결과 밀접접촉자가 추가되었다고 밝혔다.




메르스 질병관리본부



9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날 메르스로 확진된 A씨(61)와 2m이내 등 같은 공간에 있거나 환자의 타액이 접촉한 밀접접촉자는 이날 오후 기준 22명이다.첫 발표시 20명 이었던 밀접접촉자는 환자가 공항에서 탑승한 택시기사 1명, 입국 당시 환자가 탑승한 휠체어를 밀어준 도우미 1명이 추가되었다.


일반 접촉자는 440명으로, 추가 조사에 따라 접촉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쿠웨이트가 이날부로 오염지역으로 지정 됐다.


한자는 업무차 출장을 갔던 쿠웨이트는 지금까지 보건당국이 지정한 메르스 오염지역이 아니었다.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에 따르면, 2016년 8월 마지막으로 쿠웨이트에서는 메르스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박기준 질병본부 검역지원과장은 "쿠웨이트는 오염지역은 아니나, 환자가 두바이를 경유했기 때문에 검역 단계에서 조사 대상이었다. 검역 절차에 느슨하게 한 부분은 전혀 없으며, 오늘부로 쿠웨이트 역시 오염지역으로 관리 할 예정"이라 전했다.


질병본부는 환자가 입국 시 휠체어에 탑승할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는데도 격리 없이 공항을 빠져나가게 둔 것과 관련하여 체온, 발열, 기침 같은 호흡기 증상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박기준 검역지원과장은 "휠체어를 타고 들어왔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 살폈으나, 환자가 열흘 전 설사 이후 아무 증상이 없다고 답했다"며 "함부로 메르스로 의심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낙연 총리 메르스



이번 일로 이낙연 국무총리도 입을 열었다.


"2015년 경험에서 우리는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는 교훈을 얻었다. 그렇게 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낙연 총리는 2015년 메르스 사태에 대해 "38명의 사망자를 냈다는 결과 못지않게 그 과정 또한 많은 아픈 경험으로 우리에게 남아있다. 대응은 더뎠고, 환자가 다녀갔거나 입원한 병원도 공개하지 않을 정도로 불투명하게 관리해 국민 걱정을 증폭 시켰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초기대응이며, 오늘까지 사흘째인데 초기대응은 비교적 잘 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으며, "22명과 접촉 하셨던 분들의 협조가 절실하다. 꼭 알려주시고 그래야만 본인도 다른 국민들도 안전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 달라"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