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많은 가정에서 가전제품으로 LG 제품을 사용한다. 문제없이 사용하던 제품에서 에러코드를 띄우며 동작이 안될경우 무척 난감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에러코드의 의미와 간단 해결법을 알아보자.
tCL
세탁조 청소 시기를 알려주는 에러코드로 고장은 아니다. 하지만 전원 입력 시 코드를 띄운 뒤 곧 사라지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한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통돌이 세탁기의 경우 코스 선택 - 통세척을, 드럼세탁기의 경우 통살균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조 청소를 실시한다.
굳이 업체를 통한 세탁조 청소를 할 필요 없이 꾸준한 세탁조 청소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세척 효과를 가진다.
UE
불균형 에러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세탁기를 전후좌우로 흔들었을 경우 다리 하나가 떠 있는것 처럼 흔들리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흔들릴 경우 수평이 안맞는 상황으로 제품을 구입할 시 설명서와 함께 동봉된 렌치를 이용하여 직접 수평 조절이 가능하다. 만약 본인이 수평을 조절할 수 없다면 서비스 센터(1544-7777)을 통해 출장 서비스를 접수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세탁조 내 세탁물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발생한다. 세탁기가 하는 역할은 급수하고, 통을 회전시키며, 배수하는 역할로 볼 수 있다. 통이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팽이처럼 균형이 잘 맞아야 원할한 회전이 가능하나 세탁물의 균형이 맞지 않을경우 균형이 맞지않는 팽이가 회전 시 휘청거리는 것처럼 통 역시 휘청이며 진동이 크게 발생한다.
드럼세탁기 역시 통이 눕혀져 있다는 것 외에는 일반 통돌이와 구동 원리는 동일하므로 드럼세탁기 역시 세탁물의 균형에 큰 영향을 받는다.
세탁물 중 불균형을 유발하는 세탁물은 이불, 수건, 세탁망이 있다.
이불은 자체적으로 부피가 커 무게 배분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다. 솜 이불이라면 세탁 중 솜의 무게가 어디에 쏠릴지 예상할 수 없기에 탈수 중 진동이 발생할 경우 제품을 끄고 탈수를 재시도(해봤자 세탁물 균형이 안맞는 상황은 동일하다)하지말고 세탁물의 균형이 맞도록 재배치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수건은 긴 형상으로 주로 수건을 세탁할 경우 여러 장의 수건을 한 번에 세탁하게 된다. 세탁, 헹굼 중 수건 끼리 엉키기 때문에 한 덩어리가 되어 무게가 균일하게 배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세탁망의 경우 시중에 파는 커다란 세탁망을 보고 가득 담아 세탁하는 사람들이 있다. 세탁망에 가득 담게되면 결국 베게를 하나 세탁하는 것처럼 큰 덩어리가 되버리기 때문에 망 내에는 분리세탁 하고싶은 세탁물 1~2장만 넣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로는 세탁기 자체 부품 문제로 출장 서비스를 통해 부품을 교체해야 한다.
dE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에러 중 하나다. 통돌이의 경우(최신 제품은 도어 락이 걸린다) 세탁이 돌아가는 중 문을 열어 세탁물을 추가할 경우 에러코드를 확인 가능하다.
하지만 문이 제대로 닫혀있는 경우에도 에러코드가 발생한다면 문이 잠겼는지 확인하는 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출장 서비스를 통해 부품을 교체하거나 조정 수리가 필요하다.
드럼세탁기의 경우 도어 락커가 불량일 경우 발생한다. 문이 잠기는 '찰칵 찰칵' 소리만 나며 dE에러를 발생하는데 이 역시 출장 서비스를 통해 부품을 교체 해야한다. 물론 도어 락커 교체를 통해서도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 하기도 한다.
OE
배수가 안될 경우 발생하는 에러코드로 사용자가 직접 해결하기가 제한적이다. 겨울날 배수구가 결빙이 됐을 때도 동일한 에러를 띄운다. 결빙이 됐을 경우 배수호스부에 따뜻한 물에 적신 걸레를 배수호스에 감아두는 것도 방법 중 하나다.
통돌이의 경우 우선 세탁기 후면부에 연결된 배수호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탈수를 진행해도 동일할 경우 출장 서비스를 신청해야 한다. 만약 배수호스를 제거하자 배수가 정상적으로 될 경우 배수호스 내 이물을 제거하거나 호스를 서비스 센터에서 구입, 교체하여 해결 가능하다.
드럼세탁기의 경우 세탁기 하단부에 둥근 모양의 이물 필터를 청소해보고 동일한 증상이 발생할 경우 배수펌프 불량의 가능성이 높다. 출장 서비스를 신청해야 한다.
IE
급수가 안될 경우 발생하는 에러코드로 수도꼭지가 잠겼는지 확인 하는게 우선이다.
추운 겨울 결빙이 됐을 경우 발생하는 FF에러 대신에 띄우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따뜻한 물에 적신 걸레를 세탁기와 급수호스 연결부에 감아 얼음을 녹히면 대개 해결할 수 있다.
온수가 급수될 상황에 온수가 잠겼을 경우에도 IE 에러를 표시하기도 한다.
그 외의 경우 출장 서비스를 신청하여 급수 밸브를 교체해야 한다. 물론 급수 밸브 교체 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 하기도 한다.
FE
주로 급수가 계속 될 경우 발생하는 에러로 일반적으로 통돌이 세탁기에서 배수라인 구속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수가 발생 할 경우 발생하는 에러코드며, 그 외의 경우 물이 최고수위 까지 계속해서 급수된 경우에도 발생한다.
드럼세탁기의 경우 드럼전용 세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다량의 세제를 투입하여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시에도 나타날 수 있다.
급수를 계속 할 경우 출장 서비스를 통해 수리를 받아야 한다.
PE
압력 센서 에러 발생 시 나타나는 에러코드로 출장 서비스를 통해 수리를 받아야 한다.
tE
히터가 정상 동작을 하지 못하거나 목표한 온도까지 도달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에러코드로 통돌이, 드럼세탁기 구분 없이 우선 온수가 연결이 됐는지와 수도꼭지를 열었는지 확인을 한 뒤 온수가 정상 출수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모두 정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에러를 발생할 경우 출장 서비스를 통해 수리가 필요하다.
dHE
건조 기능이 있는 드럼세탁기에서 주로 발생하는 에러로 히터 혹은 송풍구 이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출장 서비스를 통해 수리해야 한다.
CE / LE
세탁조가 회전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에러코드다.
통돌이 세탁기 사용 중 CE 에러의 경우 우선 배수를 시킨 후 회전판에 동전같은 이물이 끼었는지 확인한다. 직접 제거가 가능할 경우 제거 후 동작이 되지만 제거할 수 없는 경우 역시 서비스를 신청해야 한다.
LE의 경우 회전 센서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며 회전 축, 모터 불량 시에도 동일 에러가 발생한다.
이상으로 LG 세탁기에서 발생하는 에러코드와 간단한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실제로 에러코드를 띄울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가 아닌 이상 제품이 '나 여기가 아파요'라고 표시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가처리 방법이 상당히 제한적이다. 또한 부품을 직접 구입하여 교체를 하고 싶다 하더라도 주요 수리 부품의 경우 일반인에게 판매가 불가하다. 또한 자가 수리를 하다가 문제가 발생할 경우 LG에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자신없을 경우 시도하지 않도록 해야한다.